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ata Element
- ABAP Internal Table
- Nested structure
- ABAP INSERT
- ABAP 헤더
- ABAP SQL
- 싱글톤 패턴 사용이유
- abap
- ABAP DATA 구조체
- ABAP DELETE
- ABAP FROM
- Internal Table header
- ABAP SELECT
- ABAP OPEN SQL
- ABAP UPDATE
- 인터널테이블
- java
- ABAP MODIFY
- Internal Table 헤더라인
- abstrac class
- OPEN SQL
- ABAP WHERE
- ABAP TYPE 구조체
- sap
- Internal Table
- 헤더라인
- 인터널 테이블 생성
- DOMAIN
- ABAP INTO
- ABAP 구조체 선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BAP SELECT (1)
행복한 째아의 개발 블로그
[ABAP 기초] OPEN SQL #1 데이터 읽기
1. SELECT 구문 SELECT 구문은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에서 필요한 테이터를 읽어 온다. 1) Single Line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라인 값을 읽어오고자 할 경우 Single을 사용한다. SELECT SINGLE ... WHERE 데이터 베이스에서 하나의 값만 가져오는 구문이므로 하나만 있는 값을 잘 찾아와야 된다. 즉, WHERE로 조건을 줄 때 유일한 값을 줘야지 원하는 값을 얻어올 수 있다. 만약에 조건을 잘못 줘서 여러 개의 데이터를 읽어오면 그중 임의의 값이 반환된다. 2) Several Lines 여러 라인을 조회할 때는 SELECT의 결과가 내부 테이블에 저장된다. 이를 인터널 테이블이라고 하며 인터널 테이블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자. (추후 추가 예정) 바로 뒤에서..
SAP/SAP ABAP
2022. 10. 21. 10:53